CAG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조영술 ) Basic View
CAG 한 영상을 보면 2D 영상이라서 어느 뷰에서 어떻게 혈관을 보고 있는지 헷갈릴때가 많다.
stenosis 있는 곳을 보는 것은 어렵지 않은데 그 stenosis 가 있는 혈관이 무슨 혈관인지 알아보는것이 관건이다.
그걸 알려면 CAG 할때 기본으로 잡는 View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Basic View
: 기본적으로 C-arm의 detector 위치를 기준으로 View 이름을 정한다.
CAG방에 가보면 환자 테이블 머리쪽에 C형태의 거대한 xray 기계가 테이블을 감싸고 있는데 그것이 C-arm이다.
그 C-arm이 심장을 기준으로 방향을 돌리면서 angiography를 찍어주게 된다.
기본적으로 LCA와 RCA를 따로 찍게 되는데, 가끔 LCA, RCA를 어떻게 구별하냐고 물어보는 사람들이 있다..ㅎㅎ
LCA찍을땐 die가 LCA만 들어가니까 RCA는 view에서 보이지 않는다.
아래는 각 View 별로 설명이 되어있고 Coronary A. 모형을 각 방향별로 봤을때 보이는 모습을 찍어왔다.
LCA 볼떈 RCA가 안보인다고 생각하자.
1. LCA(Left Coronary Artery) = LAD + LCx
- LAD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 수염이 많고 Apex를 향헤서 달리는 길고 긴 혈관. apex에 닿는 혈관을 일단 LAD라고 보면 편하다. (막히지만 않았다면)
- LCx (Left Circumflex artery)
: LV 좌측벽을 돌아서 내려간다
(1) AP (Anterior-Posterior)
: 가슴앞에서 등뒤 방향으로 찍은 view, 흔한 chest AP 방향과 같다.
(2) RAO-Cranial (Right Anterior Oblique-Cranial)
: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발 방향으로 비스듬히 찍은 view
: LAD가 가장 straight 하게 보인다
(3) LAO-Cranial (Left Anterior Oblique-Cranial)
: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발 방향으로 비스듬히 찍은 view
: 물항아리 모양, LAD와 LAD의 분지혈관(diagonal br. D1, D2) 의 관계가 잘보인다
(4) LAO-Caudal (Left Anterior Oblique-Caudal) (=Spider view)
: 왼쪽발에서 오른쪽 어깨방향으로 비스듬히 찍은 view
: Left main과 LAD os, LCX os(ostium=opening) 와의 관계가 잘보인다.
: Apex에서 심장을 올려다 보는 양상이라 전체적인 모양이 스파이더처럼 쫘~ㄱ 펼처진 듯한 모습으로 보임
(5) RAO-Caudal (Right Anterior Oblique-Caudal)
: 오른쪽 발에서 왼쪽 어깨방향으로 비스듬히 찍은 view
: LCx 를 가장 Straight 하게 보여준다
2. RCA (Right Coronary Artery)
(1) Left lateral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찍은 view
: RCA가 ㄷ자 모양으로 보여주고 SA nordal a. RV br. AV nordal A 등과 같은 RCA br. 잘보인다
(2) Right Lateral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찍은 view
: RCA ㄷ자 모양의 등쪽을 보여줘서 RCA가 straight 하게 보인다.
+ 여담) 이거 찍겠다고 뒤에서 모형 찍고 있으니까 교수님께서 그거 백날찍어봐라 나중에 보겠냐 하셨는데.ㅎㅎ 역시나 찍고 한달 지나서 열어봤더니 이게 뭔 사진이지 했다..ㅎㅎㅎ 이런건 배웠을때 바로바로 정리해놔야하는데. 집에가서 다시 봐야지 해놓고 잊어버려서 문제.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