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Journey

[포리뷰] 소수몽키의 한권으로 끝내는 미국주식

[서명] 소수몽키의 한권으로 끝내는 미국주식
[저자] 소수몽키(홍승초)
[출판일] 2021.03.24
[출판사] (주) 도서출판 길벗
[판매가] 20K
[구입처] yes24 온라인
[독서기간] 2021.04.10-12
[한줄평] 미국주식으로 갈아타야겠다.ㅎㅎ



[목차로 보는 요점정리]
목차
프롤로그 미국주식으로 인생이 바뀌었다
소수몽키의 미국주식 기초상식 Q&A

Chapter 1
가난이 싫어서 시작한 미국주식
1-1 가난과 걱정 중에 걱정하는 삶을 살기로 결심하다
1-2 국내주식도 어려운데 무슨 미국주식이에요?
1-3 이렇게 쉽고 재밌는 방법이 있었다니! 166.6 프로젝트
1-4 위기에도 나를 지켜주는 미국주식, 달러가 곧 힘이다
1-5 기회가 끊임없이 쏟아지는 미국의 주식시장
 미국에 주식이 더 많고 배당주식도 많다 

Chapter 2
나에게 딱 맞는 미국주식 종목 고르는 3가지 전략
2-1 나에게 맞는 주식을 고르는 전략부터 세우자
+ 맘편한주식이 나에게 맞는주식


전략 1 도둑기업에 투자하라, ‘지갑털이’ 전략
2-2 내 시간을 훔치는 기업에 투자하라
2-3 가족, 지인의 지갑을 털어가는 기업에 주목하라
2-4 내 지갑을 점점 ‘더 많이’ 털어가는 기업에 주목하라!
나와 내주변 사람들의 시간과 돈을 뻇아가는 산업을 찾아라

 

+ 도둑기업 찾는법

-- 나와 내주변의 사람들의 시간과 돈을 뻇아가는 산업을 찾아라 
-- 그 산업에서 1~3등의 대표기업을 찾아라
-- 그 대표중에 투자할만한 기업을 골라

+ 점수가 낮은 기업에 단기투자할려면?
-- 투자금 5%이상 투자하지말것
-- 10% 수익나면 분할 매도
-- 5%이상 손실나면 분할매도해서 손실 차단 


전략 2 성장, 독점, 진입장벽을 확인하는 ‘올리고폴리’ 전략
2-5 그들만의 리그에 투자하자

 

+ 독과점 : 소수 장악, 경쟁이 적음, 이익많이 남김, 비싸도 소비자들이 찾는다
+ 독과점 기업찾기 => "점유율"확인
 -- 구글 검색 : "기업명+점유율" , "기업명+market share" 
 -- 증권사 제공 리포트내 "점유율" 확인
 -- 상위 1~3등 기업의 시장점유율 합 >50%   
+ 독과점 순위는 변한다. -> 과점 (oligopoly)  주식찾으려면?

소몽의 투자생각) 10년 투자가 정말 쉬울까? 왜 자꾸 공부하라고 하는 것일까?

 

2-6 ‘올리고폴리’ 전략의 필수 조건 3가지

 

1) 성장하는 산업 : 앞으로 성장하는 분야여야지. 죽어가는 분야에 독점해봤자;;

2) 현재 독과점 : 지금 잘나가
3) 미래 독과점 (높은 진입장벽) : 다른놈이 침범하기 어려워서 계속 잘나갈예정

2-7 독과점 상황이 변하고 있다는 3가지 신호

 

1) 매출총이익률 > 30% 

+ 매출총이익률 확인하는 법 

  --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gross profit) / 총매출 (total revenue)

  -- 구글 검색 : "매출총이익를" "gross profit margin ratio"

  --  야후 파이낸스, 주요 증권정보 사이트에서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에서 찾아서 계산
2) 경쟁사의 진입발표 vs 매각발표 
3) 요금인상(자신감 뿜뿜)과 요금인하(경쟁치열) 

2-8 실전! ‘올리고폴리’ 전략

전략 3 건물주 기업에 투자하기, ‘아무나 이겨라’ 전략
2-9 평생 묻어둘 만한 주식을 골라내는 ‘아무나 이겨라’ 전략
+ 누가 이기든 상관없이 오르는 주식을 골라라

 

2-10 실전! ‘아무나 이겨라’ 전략
-- e.g. 전기차 기업들이 핫하게  싸우면 어떤 기업이든 충전소(차지포인트, 테슬라, 블링크차지) 나 베터리는 사용하겠지
-- e.g. 반도체 생산기업 (TSMC, 삼성) 이 경쟁한다면 반도체 장비를 만드는 기업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ASML, 램리서치, 도쿄일렉트론)
-- e.g. 5G로 핸드폰기업 (애플, 삼성) 경쟁한다면 스마트폰 반도체 칩셋개발하는 퀼컴을 사자

 

** Pick :  도둑기업+올리고폴리+뒤에서 콩고물먹는애

 

소몽의 투자생각) 산업 구조와 메가트렌드 변화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이유


Chapter 3
수익률 높이는 매수매도 타이밍 잡기
3-1 기준을 세우는 것만으로도 수익률이 올라간다

전략 1 먼저 가서 여유 있게 기다리는 ‘여름에 패딩 사기’ 전략
3-2 한발 먼저 사서 기다리는 ‘여름에 패딩 사기’ 전략
+ 주식은 현재가 아닌 미래를 반영한다. 어짜피 꼭 오게 되어있는 겨울에 대비해서 패딩사라

 

3-3 실전! ‘여름에 패딩 사기’ 전략
-- e.g 게임기 출시할때 미리 반도체를 산다
-- e.g. 대선오기전에 SNS 기업을 산다 (트위터)
+ 주가 흐름 : 80-120-100 : D-day 직전이 기대심리로 젤 높다. 

 

3-4 손실 막는 투자를 하고 싶다면 먼저 D-day를 찾자!
+ D-day 3~6개월전에 미리 산다 
+ 업종별 D-day 
 -- 가전, 스마트폰 ( 애플, 베스트바이) : 12월, 블랙프라이데이, 신제품발표
 -- 전자상거래 (아마존, 윌마트) : 주요할인행사
 -- 게임, 엔터 (엑티비전블리자드, 테이크투) : 신작발표
 -- 플랫폼 (넥플릭스, 트위터, 페이스북) :구독자수 발표

 -- 건설, 인테리어 (홈디포, 레나) : 주택지표, 모기지 금리 (착공, 신규판매 )

 -- 자동차 (테슬라, 포드, GM) : 신차발표, 공장확대, 월별 자동차판매량
 -- 제약, 바이오 (존슨앤존슨, 화이자) : 주요학회, 컨퍼런스, 임상실험결과발표

 -- 경기민감 (US 스틸, 엑손모빌,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금융) : 각종 경제지표 (금리, 유가)

 -- 광고/소셜미디어 : 대선, 월드컵, 올림픽 등

3-5 D-day가 보이면 매도 시점도 보인다!
+ D-day 3~6개월전에 매수, D-day 2주 전부터 분할매도 
+ 장기투자용인데 D-day가 있다면 비율로 나눠서 150% 매수, D-day 50% 매도, 100%는 keep

전략 2 간단하지만 강력한 ‘내가 이걸 왜 샀지?’ 전략
3-6 산 이유가 사라지지 않으면 팔 이유도 없다
+ 매수할떄 이유를 적어두고 그이유가 유지된다면 keep
+ 이유는 여전히 있는데 주가떨어지면 매수 타이밍

3-7 우리가 주식을 팔아야 하는 두 가지 상황

1) 특정 event (D-day 전후)
2) 이젠 저평가가 아니다

+ 저평가 찾는 기준
-- P/E (Price/Earning) : 실제 버는 돈에 비해 얼마나 평가 받나? 낮을수록 저평가
-- P/S (Price/sale) : 매출대시 얼마로 평가 받나? (적자라서 earning이없는 기업평가시) 낮을수록 저평가

+ 매수타이밍
1) 실적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 3~6개월전
2) 실적좋을 거라 예상될때 실적발표 최소 1~2개월전
3) 저평가 받고 있을때 (P/E, P/S)
4) 일시적 악재로 하락시 (기업이 튼튼하다면 결국회복함)

+ 매도타이밍
1) 실적 영향주는 이벤트가 1주일남았을때, (10%씩 분할매도, 50%은 추이 관찰하며 지속보유할지 여부 결정)
2) 실적발표 전후 (실적전 기대감으로 과도하게 급등했다면 발표전에 50% 매도, 발표직후 50% 매도)


전략 3 기회비용을 고려한 ‘갈아타기’ 전략
3-8 더 매력적인 주식이 있다면 옮기자! ‘갈아타기’ 전략

+ 갈아타기 전략
1) 새로 살 매력적인 종목 선택 (저평가 또는 기대수익율, 성장성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애)
2) 보유중인 주식들을 평가한다 (현재까지 손실 또는 수익율은 철저히 무시한다)
3) 새로 살 애들과 가지고있는 애들과 비교해서 더 좋은애를 취하고 아닌건 버린다
4) 비교할때는 비슷한 유형, 비슷한 업종 끼리 비교한다. 

소몽의 투자생각) 시간과 돈은 유한하다, 장기투자하라는 말의 함정

 

3-9 엄선한 주식만 보유했다면 갈아타지 않는 것도 전략
3-10 주기적인 점검과 갈아타기가 필요한 이유
+ 1등기업이 잘바뀐다. 

전략 4. 월 적립식 투자 노하우 마음 편한 ‘반반’ 전략
3-11 가장 현실적으로 접근하는 적립식 투자 노하우, ‘반반’ 전략

 

+ 50%는 규칙적으로 매수, 50%는 고점대비 10% 하락시 매수 


+ 분할매수 
  -- 우량대형주 (시총 >100억달러) : 고점대비 15%, 20%, 25% 하락시점에 분할 매수
  -- 고성장 중소형주 (시총 <100억달러) : 고점대비 20%, 25%, 30% 하락시점에 분할매수
  -- ETF : 고점대비 10% 하락시 매수 

 

3-12 투자 목적에 따른 매수매도 타이밍 잡기
3-13 매수매도에 힌트를 주는 다양한 신호들

 

+ 쏠림현상 : 다들 사고싶은게 똑같을때 -> 곧하락
+ 천장신호 : 1일1언론, 지금이라도 사야하나요? 가즈아~ 이제시작, 호재가 언급되는대도 더안올라
+ 바닥신호 : 악플 무플이 넘칠때, 악재가 언급되는대도 더 안떨어짐..

소몽의 투자생각) 최근 10년간의 자산별 수익률을 보고 배워야 할 점들


Chapter 4
소음의 홍수 속에서 진짜 신호를 잡는 법
4-1 피터 린치의 고객들 절반이 돈을 잃은 이유, 돈 공부는 필수다
4-2 제대로 된 환경부터, 일단 시끄러운 소음에서 벗어나자
4-3 돈 벌려면 유튜브, TV, 뉴스를 꺼야 한다
+ 소문보다 기업에 집중하라
+ 가성비 공부법 : 산업리포트 -> 기업리포트 -> 뉴스, 컨텐츠  

 

4-4 가성비 공부 1탄 산업리포트 분석하기
+ 이벤트기점부터 최소 3개월~1년전에 발간된다. 팩트위주, 의견보다는 숫자와 팩트위주로 본다
+ 보는곳: 한경 컨센서스- 산업탭, 각증권사홈피 투자정보탭 
+ 산업리포트 고르는 팁: 최대한 제목이 쉽고 표지가 이쁜애를 고른다 

4-5 산업 리포트에서 꼭 확인해야 할 정보 3가지
1) 시장점유율 (market share) : 독과점 파악, 후발주자와 미래 독과점유지 여부 예측
2) 성장률 : 성장하나? 가속, 둔화? (고속성장일필요없음 성장하냐안하냐가 중요)
3) 침투율 (penetration rate) : 해당 산업이 전체 시장에서 얼마의 비중을 차지하느냐 -> 침투율이 낮을수록 성장포텐이 있다. 
 -- 침투율 0~10% : 전부오른다
 -- 침투율 10~20% : 대장주와 쩌리가 구별되는 시기
 -- 침투율 20~50% : 1등주 위주의 상승기 : 
 -- 침투율 50%~ : 주가 상승율 정점찍고 둔화시기
4) 주요이벤트 일정 : 주가상승 영향 미칠 이벤트


4-6 가성비 공부 2탄 기업리포트 분석하기
+ 기업리포트 또는 실적발표자료에서 확인할 2가지
1) 무엇을 돈을 벌고있나? (현재 미레) 매출의 가장큰비율을 차지하는 부분, 비율은 적어도 성장세가 가파른 차세대 성장동력
2) 글로벌 기업이면 어디서 돈버는지? : 국가갈등생기면 영향을 줄수있다

+ 기업리포트 구하는 곳 
1) 한경 건센서스의 기업리포트 탭
2) 개별 증권사 홈페이지의 "투자정보" 탭
3) 소몽라운지 
 
4-7 가성비 공부 3탄 개별 뉴스, 커뮤니티 분석하기
+ 뉴스와 커뮤니티가 독이 될때
1) 주가 상승시 : 무슨 뉴스가 나와도 긍정적으로 해석
2) 주가 하락시 : 무슨 뉴스가 나와도 부정적으로 해석 

+ 활용도 높은 웹사이트
1) CNBC : 속보, 주요뉴스
2) WSJ, FT, bloomberg, Barron's : 주요 경제지, 양질컬럼, 유료...
3) Seekingalpha : 미국주식과 관련한 다양한 아마추어 및 기관투자들의 기고글

소몽의 투자생각) 주가는 결국 실적에 수렴한다는데, 도대체 실적이 뭘까?


Chapter 5
미국주식 ETF 상황별 실전 매매 전략
5-1 상황별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하는 이유
5-2 실전에서 마주하는 5가지 상황별 대응 전략 준비하기(with ETF)

 

1) 유망산업에 투자하고싶을떄 ( 성장산업 )  
 + 돈있으면 하락할떄마다 매수하고 돈이 부족하면 갈아타기 전략,

꾸준히 모아가되 실적 점검하고 기대수익율이 더 높은애로 갈아타기

 

2) 위기를 기회로 잡고 싶을때 ( 3대지수 ETF ) :  S&P500(SPY) , 나스닥(QQQ), 다우 (DIA)

+ 52week Range : 최근 1년간 주가의 최저가격~ 최고 가격 

    ==> 최고점대비 하락율 계산하자 

+ 매수 :

 -- 52주 고점대비 20% 하락시 분할매수 시작 

 -- 52주 고점대비 20%하락시 투자금액50% 매수

 -- 52주 고점대비 30%하락시 투자금액 30%매수

 -- 52주 고점대비 40% 하락시 20% 매수

 + 매도 : 하락폭의 50% 회복시 분할 매도 

 

3) 회복 산업 투자하고싶을때 (광고, 여행, 항공, 건설) 
 +  "일시적 비정상의 정상화"에 베팅 : 3~6개월 보유목적으로 경기회복되면 매도 

 

4) 경기 민감 산업투자 하고 싶을떄 (산업재,원자재, 에너지, 금융 등)
 + 금융 : 금리
 + 에너지 : 유가, 가스 가격
 + 원자재 : 원자재 가격
 + 산업재 : 각종 경기 지표

 

5) 다양한곳에 투자 (자산군배분, 국가 배분)
+ 자산군 배분 : 채권(장기채권TLT, 중장기채권 IEF, 단기채권 SHY), 원자재 (금 GLD, 은 SLV, 금광주 GDX)
 -- 안전자산용도로 채권과 주식 비중(8:2, 7:3)을 조정, 공격성향일수록 채권비중 낮게 
 -- 금은은 안전자산으로 5%정도 가지고 있는것도 좋다 
+ 국가를 배분 : 미국, 홍콩, 중국...등

소몽의 투자생각) 투자 수익률을 높여주는 또 하나의 도구, ETF
+ 소음의 공격에 강한 ETF, 가치평가나 타이밍의 중요도가 낮아서 좋다. 스트레스 줄이고 수익확보 

5-3 유망 분야 투자 실전 사례 ① 전기차 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LIT) 
-- e.g. 산업대표 ETF(전기차 ETF) + 대장주(1~3등) (테슬라)

 

5-4 유망 분야 투자 실전 사례 ② 헬스케어 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 ETF 선택시 채크사항3가지
1) 운용규모 (AUM: asset under management ) > 1억달러 이상 안전
2) 운용수수료 (Expense ratio) : < 연1% 미만 
3) 성장일 (inception date) : 2008년 이전에 상장된 애들 (2008년 금융위기버틴애들)
4) 운용사 : 대표운용사 Vanguard(V), Blackrock( I or iShare), state street (X or S or SPDR )

5-5 시장하락(위기) 줍줍 투자 실전 사례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3대 지수에 투자하자!
5-6 회복 분야 투자 실전 사례 자주 오지 않는 기회를 잡는 법, 위기 후 회복할 분야를 노려라!
5-7 경기민감 투자 실전 사례 거대한 파도에 올라타 수익을 누리고 싶다면?
5-8 자산배분 투자 실전 사례 ① 다가올 시장 하락에 미리 대비하고 싶다면?

+ 내자산의 변동성을 줄이고 싶을때 유용한 ETF
1) 위기대비 : 채권, 금, 은, 원자재
2) 월현금흐름 만들기 : 배당주, 방어주(안정성이 높아서 주가떨어지는 폭이 적은주들: 필수소비XLP, 유틸리티 XLU, 헬스케어 XLV, 리츠VNQ, 배당성장 VIG )
3) 국가 분산 : 이머징, 유럽 등..

 

5-9 자산배분 투자 실전 사례 ② 지속적인 현금흐름을 만드는 자산 배분 투자
5-10 자산배분 투자 실전 사례 ③ 미국 외에 다른 국가에도 투자할 수 있다!
5-11 ‘여름에 패딩 사기’ 전략을 활용한 단기 테마성 매매
소몽의 투자생각) 내가 투자한 종목이 ETF에 포함되어 있으면 좋은 이유
+ ETF에 포함된 주식들이 그들이 그 산업에 대장주다 

에필로그) 비관론자는 모든 기회에서 어려움을 찾아내고, 낙관론자는 모든 어려움에서 기회를 찾아낸다

'Book Jour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리뷰] 나의 하루는 4시 30분에 시작된다  (0) 2021.05.11